Surprise Me!

[팩트맨]독감 백신, 제조사별 차이 있을까?

2020-10-22 1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최근 독감 백신 맞을 때 특정 회사 백신을 찾는 분들이 늘었습니다. <br> <br>백신을 맞은 뒤 숨지는 사례,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죠. <br> <br>안전과 효능 측면에서 수입 백신이 낫다 국산이 낫다 다양한 주장이 퍼지는데요. <br> <br>어떤 차이가 있는 건지 팩트맨이 알아봤습니다. <br><br>백신, 어떻게 만들어질까요. <br><br><br><br>독감은 매년 변이가 일어나서, 세계보건기구가 2~3월에 올해 유행할 바이러스를 예측해 발표합니다. <br> <br>전 세계 백신 제조사는 예측된 바이러스로 백신을 만든다는 공통점 있죠. <br> <br>다음은 제조 공법인데요. <br> <br>국내에 유통된 독감 백신 제조사 중 9곳은 유정란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해 만들고, 나머지 1곳(SK바이오사이언스)은 세포 배양 방식으로 만듭니다. <br> <br>유정란 방식은 오래전 전 세계에 도입돼 기술이 검증됐고, 세포 배양은, 중증 달걀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선택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<br> <br>국산 백신과 수입 백신 대체 무슨 차이인지도 궁금하시죠. <br> <br>팩트맨이 국내 유통된 모든 백신 살펴봤는데요. <br><br><br><br>먼저, 국내 공장에서 바이러스를 배양까지 해 직접 생산하는 곳 3곳입니다. (SK바이오사이언스, 녹십자, 일양약품)<br><br><br><br>원액을 직접 만들진 않고 국내 업체에서 사 제조하거나 혹은 원액을 수입해서 제조하는 곳이 5곳. (동아ST, 보령바이오파마, 보령제약, LG화학, 한국백신) <br><br><br><br>독일이나 프랑스에서 완제품을 수입하는 경우 있습니다. (사노피파스퇴르, 글락소스미스클라인) <br> <br>허가 연령은 어떨까요. <br> <br>대부분 생후 6개월부터 접종 가능하지만 <br>3개 제품은 (동아ST, 한국백신 중 1개 제품, 일양약품) 36개월 이상으로 허가받아 의료기관에서 지침에 따라 접종 중입니다. <br> <br>물론 공법이나 허가 연령에 일부 차이는 있지만 정부는 제조사가 다르더라도 효능 효과가 같고 안전성을 포함해 동일한 기준에서 허가 받았다고 강조하는데요. <br> <br>시민들이 백신 제조사까지 따지게 된 건 최근 백신 유통사고와 잇따른 사망사고가 원인이 됐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점은 팩트맨! 많은 문의 바랍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권현정, 전유근 디자이너 <br> <br>[팩트맨 제보방법] <br>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

Buy Now on CodeCanyon